게시물
자산계정의 잔액으로 나오는 신용카드 잔액(마이너스 수치로 표시)이 어디서 나오는 수치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여러가지로 찾는 중에 알수가 없어서 문의드립니다만.. 지금 나오는 자산의 카드대금 (마이너스수치, 부채계정)이 맞게 나오고 있는 것이 맞는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실은 질문을 올린 다음에 다시 한번 체크를 해보니 초기설정액을 카드사에서 알려주는 잔액으로 표기를 했는데 그 금액이 실제의 미지불잔액과 차이가 나는 것을 알았습니다. 미지불잔액 기준으로 조정하니 수치가 맞아들어가더군요.    
1. 카드의 경우 재발급받는 경우에 해당 카드별로 따로 계정입력하는데 기존 카드 해지일자를 넣거나 미사용으로 변경하면 카드대금 정산에서 금액이 빠져버려 카드대금 확인시 불편합니다. 카드계정을 미사용 또는 해지일자 입력시에도 카드대금은 합산되어 보였으면 좋겠습니다. 2. 계정 분할 지출시 (예 : 1만원결제-5천원은 현금으로/5천원은 카드로) 따로따로 입력하고 태그 달아서 총 금액 확인 가능한 건 알고 있습니다만 가능하다면 입력할 때 한꺼번에 기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온블러 가계부 너무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 건의사항으로 결산 마감된 기간에 대해 입력을 방지하는 설정이 있으면 좋겠어요. 예를들어 21년까지 결산후 별도 입력 방지 설정을 통해 2021년 12월 31일 이전 내역에 대해서는 입력을 못하도록 lock이 되는 식으로요. 감사합니다!
예를 들어 지출항목의 차변계정을 대변으로 처리하여 대차 상쇄시키는 복식부기의 기능이 이 가계부에도 처리 가능한지요? 지금은 지출항목과 수입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차감처리를 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10일 차) 비품  100원   대) 신용카드 100원   이후 해당 비품판매처에서 2.10일에 20원을 은행계좌로 환급하는 경우 2.10일 차) 은행예금 20원    대) 비품 20원 으로 처리하고 싶은데 이 방법이 온블러가계부에서 처리가 가능한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추후 비품으로 거래 검색하여 전체 비품 지출이 80원임을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함도 위 건의 목적 중의 하나입니다.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식대를 한명이 전부 결제하는 경우에 있잖아요, 1. 결제시 (차) 식대  5,000  (대) 국민카드 10,000 (차) 대여금 5,000 2. 지인이 식비를 보내주는경우 (차) 국민카드 5,000 (대) 대여금 5,000   해당식으로 정리하고싶은데,, 지출탭에서 (차) 식대 5,000 (대) 국민카드 5,000 이체 탭에서 (차) 대여금 5,000 (대) 국민카드 5,000   이런식으로밖에 정리가 안되는걸까요  
설정->카드 계정에서 사용기간 (일시불, 할부) 이 부분이 잘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예로 전전월 5일 당월 5일로 설정이 되어있다면 1월 카드대금 2021-11-05 ~ 2022-01-05 2월 카드대금 2021-12-05 ~ 2022-02-05 1월 카드대금이 2월에도 나오게 되는 것이라 그렇습니다.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시고 카드사 사용기간을 확인하셔서 다시 설정하시면 됩니다.